본문 바로가기
단상(斷想)

(20100415)crystalize

by 빛의 예술가 2013. 4. 16.

시속 900m의 속도로 내게 다가와 파릇한 풍광과 상쾌한 향을 발하던 봄이 올해는 늦다.

 

체감온도는 여전히 영하권이며, 두꺼운 윈드브레이커를 비웃듯이 시베리아 북풍이 몰아친다.

 

'막을 수 있으면 막아보시지'

 

애초부터 바람은 내 몸 구석구석을 기억하고 있다.

 

날카로운 예조를 지나 뼈마디, 잔근육에서 머리카락의 시간까지 가늠한다.

 

그리고 내게 속삭인다.

 

'아직 눈물은 나지 않겠지'

 

 

어쩌면 바람은 내 몸 뿐만이 아닌 오장육부까지 샅샅이 훑고 지나가버린다는 생각마저 든다.

 

 

과거 봄을 기다리던 내게 눈부실 정도로 화려한 사람이 다가왔다.

 

하얀 날개를 달고 나풀거리는 움직임으로 무리지어 다가와 나를 세차게 밟고 걷어차던 존재의 발길질에서 난 일말의 인간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순수한 냉혹

 

난 피를 토하고, 살려달라 애원하고, 촌음동안 반항하였으며, 머리를 땅에 박은 채 꺽꺽소리를 냈지만 그들은 아무런 표정의 변화없이 계속 내게 발길질을 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 지경으로 당하고 있음에도 아무런 고통도 느껴지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그들은 더욱 굳은 표정으로, 많아진 머릿수를 조금은 고뇌하며 여전히 나와 동시대를 호흡하고 있다.

 

 

그랬었다.

 

그 공간은 너무나도 차가워서 눈물조차 흘릴 수 없었다.

 

어쩌면 눈에 그렁그렁 맺힌 눈물은 삽시간에 결정체가 되어 눈꺼풀에 매달려있었으리라.

 

그리고 눈물을 흘리려 하면 할 수록 내 눈을 찔러오는 날카로운 결정체가 너무나도 아파서 또 다시 결정체를 만들어냈었다.

 

그 악순환의 반복은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이어지던 굴욕적인 시대상과도 같았다.

 

 

그때 내 결정체를 녹이던 사람이 있었다.

 

이미 전설이 되어버린 채 내 기억속에만 존재할 그 사람은

 

천천히 다가와 나를 안았다.

 

심장이 뛰기 시작하고 따뜻한 피가 돌기 시작했다.

 

부들부들 떨리던 손과 발은 천천히 안정을 되찾았으며

 

아주 편안하게 심호흡할 수 있었다.

 

 

그제서야 내 눈에서 눈물이 흘렀다.

 

얼어붙은 결정체가 녹아 뚝뚝 소리라도 낼 것처럼 세차게 떨어지는 모습이었다.

 

 

매년 봄이오면

 

그 사람이 남기고 간 에스티로더 플레저 인텐스의 향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따뜻하고 날카로웠던 향

 

내 결정체가 수직낙하해 천천히 젖어가던 어깨와 조금은 아플 정도로 길었던 손톱

 

브란덴부르크 협주곡과 쓰레기통 속의 맥주캔

 

옷장 안에 혼재한 겨울옷과 봄옷

 

 

이 모든것이 내게 말한다.

 

'봄이다.'

 

 

 

점순이와 점돌이가 사랑하던 봄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돌아왔다.

'단상(斷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0429)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0) 2013.04.16
(20100419)4.19  (0) 2013.04.16
(20100405)라 디스뗑끄시옹  (0) 2013.04.16
(20100321)시간과 망각  (0) 2013.04.16
(20100315)코알라와 유칼리  (0) 2013.04.16